본문 바로가기
간호진단 NANDA

NANDA 간호진단 (2021-2023) PART 4. 활동/휴식

by 유두부 2023. 7. 4.

 

NANDA Nursing Diagnosis 

Part 4) Activity and Rest (활동/휴식)

 

1. Sleep/Rest(수면/휴식) : 졸음, 휴식, 안락함, 이완 또는 비활동

 

-Insomnia (불면증): 수면을 시작하고 유지할 수 없어 기능이 손상되는 것

 

-Sleep deprivation (수면박탈): 

상대의 의식상태가 자연적이고 주기적으로 정지되는 양상(수면)을 누리지 못하여 휴식이 제공되지 못하는 상태가 지속됨

 

-Readiness for enhanced sleep (수면향상을 위한 준비):

적절한 휴식을 제공하고 바람직한 생활양식을 유지하게 해주는 상대적 의식상태가 자연적이고

주기적으로 정지되는 양상(수면)이 강화될 수 있음

 

-Disturbed sleep pattern (수면양상 장애): 수면 중 외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제한시간 동안 깨어나는 것

 

2. Activity/Exercise (활동/운동) : 

신체를 움직이는 것(기동력), 일을 하는 것, 가끔(항상이 아닌) 저항에 맞서 움직이는 것

 

-Decreased activity tolerance (활동지속성 감소): 필요한 일상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견디는 힘이 부족함

 

-Risk for decreased activity tolerance (활동지속성 감소의 위험성): 

필요한 일상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견디는 힘이 부족한 상태를 경험할 수 있을 정도로 취약한 상태

 

-Risk for disuse syndrome (비사용증후군의 위험):

치료 목적이나 부득이한 이유로 근골격을 사용하지 않아 신체가 쇠퇴하여 건강에 위협이 될 만큼 취약한 상태

 

-Impaired bed mobility (침상 기동성 장애): 침상에서 스스로 체위를 변경하는데 제한을 보임

 

-Impaired physical moblility (신체 기동성 장애): 신체와 사지 일부를 독립적으로 의도한 대로 움직이는데 제한적임

 

-Impaired wheelchair mobility (휠체어 기동성 장애): 환경 안에서 독립적으로 휠체어를 조작하는데 제한적임

 

-Impaired sitting ( 좌위수행 장애): 

둔부와 다리로 상체를 지지하며 앉아서 휴식하는 자세를 독립적으로 의도한 대로 유지하는 능력이 제한됨

 

-Impaired standing (기립수행 장애):

발끝부터 머리까지 똑바로 선 자세를 독립적으로 의도한대로 취하거나 유지하는 능력이 제한됨

 

-Impaired transfer ability (이동장애): 가까운 곳까지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능력이 제한됨

 

-Impaired walking (보행장애): 환경내에서 독립적으로 걸어 다니는 능력이 제한됨

 

 

3. Energy balance (에너지균형) : 자원의 흡수와 소모 간 조화를 이룬 역동적 상태

 

-Imbalanced energy field (에너지장 불균형): 

정상적으로는 지속적이며 온전하고 고유하며 역동적/창조적/비선형적인 인간 에너지의 중추적 흐름이 방해받음

 

-Fatigue (피로): 압도적으로 지속되는 소진감으로 일상적인 신체적/정신적 부담을 수용하는 능력이 감소함

 

-Wandering (배회): 목적없이 반복적으로 정처 없이 돌아다니면서 경계, 한계, 장애물과 같은 위험에 노출되는 것

 

4. Cardiovascular/Pulmonary responses (심혈관/호흡기계반응) : 활동/휴식을 지지하는 심폐기전

 

-Ineffective breathing pattern (비효과적 호흡양상): 적절한 환기를 제공하지 못하는 흡기와 호기

 

-Decreased cardiac output (심박출량 감소): 신체의 대사요구를 충족시키기에 심장으로부터 박출되는 혈액량이 부족함

 

-Risk for decreased cardiac output (심박출량 감소의 위험): 

신체의 대사요구를 충족시키기에 심장으로부터 박출되는 혈액량이 부족해질 만큼 취약한 상태

 

-Risk for impaired cardiovascular function (심혈관기능 장애의 위험):

물질수송, 신체의 항상성, 조직대사산물의 제거와 기관의 기능에 장애가 발생하여 건강에 위협을 줄 만큼 취약함

 

-Ineffective lymphedema self-management (비효과적 림프부종 자기 관리)::

림프관이나 림프절의 폐쇄나 질환에 의한 부종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 치료계획, 신체적/심리적/영적 결과와 

생활양식 변화에 대한 만족스럽지 않은 관리

 

-Risk for ineffective lymphedema self-management (비효과적 림프부종 자기 관리의 위험):

림프관이나 림프절의 폐쇄나 질환에 의한 부종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 치료계획, 신체적/심리적/영적 결과와

생활양식 변화에 대한 만족스럽지 않은 관리로 인해 건강에 위협이 될 만큼 취약한 상태

 

-Impaired spntaneous ventilation (자발적 환기장애) :

생명유지에 필요한 만큼 독립적으로 호흡을 시작하고 유지할 능력이 없음

 

-Risk for unstable blood pressure (불안정한 혈압의 위험):

동맥혈관을 통해 흐르는 혈액의 압력이 변화되면서 건강에 위협이 될 만큼 취약한 상태

 

-Risk for thrombosis (혈전의 위험):

다른 혈관에서 형성되어 떨어져 나간 혈전이 혈관을 막아 건강에 위협이 될 만큼 취약한 상태

 

-Risk for decreased cardiac tissue perfusion (심장조직 관류 감소의 위험):

심장 관상동맥 순환이 감소되어 건강에 위협이 될 만큼 취약한 상태

 

-Risk for ineffective cerebral tissue perfusion (비효과적 뇌조직 관류의 위험):

뇌조직 순환이 감소하여 건강에 위협이 될 만큼 취약한 상태

 

-Ineffective peripheral tissue perfusion (비효과적 말초조직 관류): 말초에 혈액순환이 감소함

 

-Risk for ineffective peripheral tissue perfusion (비효과적 말초조직 관류의 위험):

말초에 혈액순환이 감소화여 건강에 위협이 될 만큼 취약한 상태

 

-Dysfunctional ventilatory weaning response (호흡기 제거 반응 장애):

기계적 인공호흡기의 수준을 낮춘 상태에 적응하는 능력이 없어 호흡기 제거 과정이 중단되거나 지연되는 상태

 

-Dysfunctional adult ventilatory weaning response (성인 호흡기 제거 반응 장애):

18세 이상의 성인으로서 인공호흡기를 최소 24시간 이상 적용한 후 자발적 환기로 성공적으로 전환하는 능력이 없는 상태

 

5. Self-care (자기 돌봄) : 자신의 신체와 신체적 기능을 돌보는 활동을 수행하는 능력

 

-Bathing self-care deficit (목욕 자기돌봄 결핍): 씻는 활동을 독립적으로 완료하지 못하는 것

 

-Dressing self-care deficit (옷 입기 자기돌봄 결핍): 독립적으로 옷을 입거나 벗지 못하는 것

 

-Feeding self-care deficit (음식 섭취 자기돌봄 결핍): 독립적으로 먹지 못하는 것

 

-Toileting self-care deficit (용변 자기돌봄 결핍): 방광과 장배출과 관련된 활동을 독립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것

 

-Readiness for enhanced self-care (자기돌봄 향상을 위한 준비): 

건강과 관련된 목표를 충족시키기 위해 스스로 활동을 수행하는 양상이 강화될 수 있는 것

 

-Self-neglect (자기 무시):

문화적으로 기대되는 하나 이상의 자기 돌봄 행위를 통해 건강과 안녕을 사회적으로 수용되는 기준으로 유지하지 못하는 것

 

 

 

 

NANDA 간호진단 영역 4 활동/휴식에 대해 알아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