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진단 NANDA

NANDA 간호진단 (2021-2023) PART 1. 건강 증진

by 유두부 2023. 7. 2.

 

간호과정이란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중재, 간호평가 총 5단계로 이루어져 있는 간호 실무에서 대상자의 간호 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으로 그 중 간호 진단은 의사가 내리는 질병 중심의 의학적 진단과는 별개로, 환자가 갖고있는 간호학적 문제를 어떠한 방향으로 해결할 것인지 진단을 내린다.

그 후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내린 간호진단을 해결하기 위해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를 개선한다.

 

소통이 가능한 표준화된 용어를 사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NANDA Nursing Diagnosis 공식적으로 발표한 문구를 사용하여 진단한다.

총 13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수정되기 때문에 가장 최신 버전의 NANDA 간호진단 목록에서 진단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2021-2023 NANDA Nursing Diagnosis가 가장 최신 버전)

 

NANDA Nursing Diagnosis 

Part 1) Health promotion (건강 증진)

 

1. Health awareness (건강인식) : 정상기능과 안녕상태 인식

 

-Decreased diversional activity engagement (여가 활동 참여의 감소): 

오락이나 여가활동으로 부터의 자극(또는 흥미나 참여)이 감소된 상태

 

-Readiness for enhanced health literacy (건강 문해력 향상을 위한 준비):

건강을 유지, 증진하고 위험을 감소시키며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의사결정에 요구되는 

건강정보와 개념을 찾고 이해하며 평가하고 이용하기 위하여 일련의 기술과 

역량 (건강 문해력, 지식, 동기, 문화와 언어)를 발전시키고 적용하는 양상이 강화될 수 있는 것

 

-Sedentary lifestyle (비활동적 생활 양식):

낮은 에너지 소비를 요구하는 기상 시간 동안의 활동을 특징으로 하는 후천적 생활 양식

 

 

2. Health management (건강관리) : 

건강과 안녕상태 유지를 위한 활동을 확인, 조정, 수행, 통합하는 것

 

-Risk for elopement attempt (의료기관에서의 무단이탈 시도의 위험):

건강관리 전문가 혹은 돌봄제공자의 권고에 따르지 않거나 의사소통하지 않고 의료시설 또는 지정된 지역을 이탈할 수 있으며, 

안전 및 또는 건강을 해칠 수 있음

 

-Frail elderly syndrome (허약노인증후군):

한 개 이상의 건강 영역(신체적, 기능적, 정신적, 사회적)에서 악화를 경험하고, 건강상의 부작용, 

특히 장애에 대한 민감성 증가를 야기하는 노인의 불안정한 균형을 보이는 역동적 상태

 

-Risk for frail elderly syndrome (허약노인증후군의 위험):

한 개 이상의 건강 영역(신체적, 기능적, 정신적, 사회적)에서 악화를 경험하고, 건강상의 부작용, 

특히 장애에 대한 민감성 증가를 야기하는 노인의 불안정한 균형을 보이는 역동적 상태에서 나타나는 취약한 상태

 

-Readiness for enhanced exercise engagement (운동 향상을 위한 준비):

계획적이고 구조화된 반복적인 신체 움직임으로 특징 지어지는 신체 활동에 대한 집중되는 양상이며 강화될 수 있는 것

 

-Deficient community health (지역사회 건강 부족):

그룹이 경험하는 건강 문제의 위험성이 증가하거나 건강을 저해하는 하나 이상의 건강문제 또는 요인이 존재하는 것

 

-Risk-prone health behavior (위험성있는 건강 행위):

안위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삶의 방식 그리고/또는 행동을 수정하는 능력의 장애

 

-Ineffective health maintenance behaviors (비효과적 건강유지 행위):

안녕 상태를 유지하거나 개선 혹은 질병 및 손상을 예방하는데 

건강 행동에 대한 기본 지식, 태도, 실천이 만족스럽지 않는 것

 

-Ineffective health self-management (비효과적 건강 자기관리):

증상, 치료요법, 신체적, 심리사회적, 영적 결과와 만성 질환을 지니고 

살아가는 생활에 내재된 생활방식을 변화하는데 만족스럽게 관리되지 않는 것

 

-Readiness for enhanced health self-management (건강 자기관리 향상을 위한 준비):

증상, 치료요법, 신체적, 심리사회적, 영적 결과와 만성질환을 지니고 살아가는 생활에 내재된

생활방식변화에 대한 만족스럽게 관리되는 양식이 강화될 수 있는 것

 

-Ineffective family health self-management (비효과적 가족 건강 자기 관리):

증상, 치료요법, 신체적, 심리사회적, 영적 결과와 개인 혹은 가족 구성원이 만성질환을 지니고 살아가는 생활에

내재된 생활방식을 변화하는데 만족스럽게 관리되지 않는 것

 

-Ineffective home maintenance behaviors (비효과적 가정유지 행위):

자신의 거주지를 유지하기 위한 지식과 활동 양식이 만족스럽지 않은 것

 

-Risk for ineffective home home maintenance behaviors (비효과적 가정유지 행위의 위험):

자신의 거주지를 유지하기 위한 지식과 활동 양식이 불만족이 초래될 수 있을만큼 취약한 상태

 

-Readiness for enhanced home maintenance behaviors (가정 유지 행위 향상을 위한 준비):

자신의 거주지를 유지하기 위한 지식과 활동 양식이 강화될 수 있는 것

 

-Ineffective protection (비효과적 보호):

질병이나 손상과 같은 내적 또는 외적 위협으로부터 자신을 지키는 능력의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