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NDA Nursing Diagnosis
Part 2) Nutrition (영양)
1. Ingestion (섭취) : 신체에 음식이나 영양소를 섭취하는 것
-Imbalanced nutrition: less than body requirements (영양불균형: 신체 요구량보다 적음):
대사요구에 미치지 못할 정도로 충족되지 않은 영양섭취
-Readiness for enhanced nutrition (영양 향상을 위한 준비):
영양 섭취 양상이 강화될 수 있는 것
-Insufficient breast milk production (불충분한 모유 분비):
영유아의 영양상태를 유지하기에 모유의 공급이 불충분한 것
-Ineffective breastfeeding (비효과적 모유수유):
젖을 통해 직접적으로 모유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
그로 인해 영유아의 영양상태를 위협할 수 있는 상태
-Interrupted breastfeeding (모유수유 중단):
영유아에게 젖을 통해 직접적으로 모유를 제공하는 것의 중단,
그로 인해 모유수유 그리고/또는 영유아의 영양상태를 위협할 수 있는 상태
-Readiness for enhanced breastfeeding (모유수유 향상을 위한 준비):
영유아에게 젖을 통해 직접적으로 모유를 제공하는 양상이 강화될 수 있는 것
-Ineffective adolescent eating dynamics (비효과적 청소년 식생활의 역학관계):
청소년의 태도와 행동의 변화로 인해 영양 건강을 손상시키는 과식 혹은 과소의 식이 양상이 발생하는 것
-Ineffective child eating dynamics (비효과적 유아 식생활의 역학관계):
아동의 변화된 태도, 행동, 식습관에 대한 영향으로 인해 영양 건강을 손상시키는 것
-Ineffective infant feeding dynamics (비효과적 영아 식생활의 역학관계):
부모의 변화된 수유 행동으로 인하여 초래된 과도하거나 과소의 식이 양상
-Obesity (비만): 개인이 연령과 성별에 비해 과도한 지방을 축적하여 과체중을 넘어선 상태
-Overweight (과체중): 개인이 연령과 성별에 비해 과도한 지방을 축적한 상태
-Risk for overweight (과체중의 위험):
연령과 성별에 비해 과도한 지방이 축적되어 건강에 위협이 될 만큼 취약한 상태
-Ineffective infant suck-swallow response (비효과적 영아 빨기-삼키기 반응):
영아가 빨거나 또는 빨고 삼키는 반응에 대해 조정하는 능력의 장애
-Impaired swallowing (연하장애):
구강, 인두, 식도 구조나 기능의 결핍과 관련된 연하기전의 비정상적 기능 상태
2. Digestion (소화) : 식품을 흡수 및 동화에 적합한 물질로 변환하는 물리적 화학적 활동
-해당 진단 없음
3. Absorption (흡수) : 신체 조직을 통해 영양소를 섭취하는 활동
-해당 진단 없음
4. Metabolism (대사) : 모든 중요한 과정에 요구되는 에너지 방출과 함께 원형질의 개발과 사용을 위해
유기체와 세포에서 발생하는 화학적 물리적 과정
-Risk for unstable blood glucose level (불안정한 혈당수치의 위험):
혈당이 정상 범위에서 벗어나 건강에 위협이 될 만큼 취약한 상태
-Neonatal hyperbilirubinemia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
생후 24시간 후 발생하는 혈액 내 비결합성 빌리루빈(<15ml/dL)이 축적되는 상태
-Risk for neonatal hyperbilirubinemia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의 위험):
생후 24시간 후 발생하는 혈액 내 비결합성 빌리루빈(<15ml/dL)의 축적으로 건강에 위협이 될 만큼 취약한 상태
-Risk for impaired liver function (간기능장애의 위험):
간기능이 저하하여 건강에 위협이 될 만큼 취약한 상태
-Risk for metabolic syndrome (대사증후군의 위험):
심혈관 질환과 제2형 당뇨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일련의 증상을 야기함으로써 건강에 위협이 될 만큼 취약한 상태
5. Hydration (수화) : 체액과 전해질의 섭취와 흡수
-Risk for electrolyte imbalance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
혈청 전해질 수치의 변화로 건강에 위협이 될 만큼 취약한 상태
-Risk for imbalance fluid volume (체액 불균형의 위험):
혈관 내, 간질 내, 세포 내 수분이 감소/증가 또는 빠르게 이동하여 건강에 위협이 될 만큼 취약한 상태
-Deficient fluid volume (체액 부족):
나트륨의 변화없는 물의 소실, 즉 탈수에 의한 혈관 내, 간질 내, 세포 내 체액의 감소
-Risk for deficient fluid volume (체액 부족의 위험):
혈관 내, 세포 내 또는 세포 간 체액이 감소하여 건강에 위협이 될 만큼 취약한 상태
-Excess fluid volume (체액과다):
체액의 과잉 정체
오늘은 간호진단 영역2. 영양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간호진단 NANDA'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NDA 간호진단 (2021-2023) PART 6. 자아지각 (0) | 2023.07.05 |
---|---|
NANDA 간호진단 (2021-2023) PART 5. 지각/인지 (0) | 2023.07.04 |
NANDA 간호진단 (2021-2023) PART 4. 활동/휴식 (0) | 2023.07.04 |
NANDA 간호진단 (2021-2023) PART 3. 배설/교환 (0) | 2023.07.03 |
NANDA 간호진단 (2021-2023) PART 1. 건강 증진 (0) | 2023.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