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진단 NANDA

NANDA 간호진단 (2021-2023) PART 3. 배설/교환

by 유두부 2023. 7. 3.

NANDA Nursing Diagnosis

Part 3) Elimination and Exchange (배설/교환)

 

1. Urinary function(배뇨기계 기능) : 소변의 분비, 재흡수, 배설의 과정

 

-Disabiliy-associated urinary incontinence (비병리적 상태에서의 요실금):

비뇨기계통 관련된 병리적 상태 또는 문제와 연관없이 불수의적으로 소변이 흐르는 것

 

-Impaired urinary elimination (배뇨장애): 요배설장애

 

-Mixed urinary incontinence (혼합성 요실금):

강한 감각, 배뇨의 긴박성 및 복압을 증가시키는 활동과 함께 혹은 그 이후에 발생하는 불수의적 소변 누출

-Stress urinary incontinence (긴장성 요실금):

복강내압이 증가하는 활동에 따라 갑자기 불수의적으로 소변이 흐르는 것, 소변의 긴박성과 연관성 없음

 

-Urge urinary incontinence (긴박성 요실금):

배뇨에 대한 느낌 또는 긴박성을 심하게 느낀 직후 불수의적으로 소변이 흐르는 것

 

-Risk for urge urinary incontinence (긴박성 요실금의 위험):

갑작스럽고 강한 배뇨에 대한 긴박감과 관련된 불수의적 배뇨로 건강에 위협이 될 만큼 취약한 상태

 

-Urinary retention (요정체): 방광이 불완전하게 비워지는 것

 

-Risk for urinary retention (요정체의 위험):

방광이 불완전하게 비워지는 것으로 건강에 위협이 될 만큼 취약한 상태

 

2. Gastrointestinal function(위장관계 기능) : 소화 최종산물의 흡수 및 배설 과정

 

-Contipation (변비): 배변의 빈도 감소 혹은 배출의 어려움

 

-Risk for constipation (변비의 위험): 배변 횟수의 감소 혹은 배변의 어려움으로 건강에 위협이 될 만큼 취약한 상태

 

-Perceived constipation (지각된 변비):

자가 진단시 매일 장운동을 위한 방법의 남용을 동반하는 배변 횟수의 감소 혹은 배변의 어려움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만성 기능성 변비):

지난 12개월 중 최소 3개월 동안 나타났던 배변의 감소 혹은 배변의 어려움

 

-Risk for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만성 기능성 변비의 위험):

지난 12개월 중 최소 3개월 동안 나타났던 배변횟수의 감소 혹은 배변의 어려움으로 건강에 위협이 될 만큼 취약한 상태

 

-Impaired bowel continence (변실금 장애):

대변을 참지 못하고, 직장에 대변의 존재를 감지하지 못하며, 배변이 불편할 상황에서 진정하고 대변을 저장할 수 없는 것

 

-Diarrhea (설사): 1일 3회 이상 묽거나 액체 변의 배설

 

-Dysfunctional gastroinetstinal motillity (위장관운동 기능장애):

위장관계 내의 연동운동이 증가, 감소, 비효과적 또는 부족한 상태

 

-Risk for dysfunctional gastrointestinal motility (위장관운동 기능장애의 위험):

위장관계 내 연동운동의 증가, 감소, 비효과적 또는 부족으로 건강에 위협이 될 만큼 취약한 상태

 

3.Integumentary function(피부 기능) : 피부로부터의 분비와 배설의 과정

 

-해당 진단 없음

 

4.Respiratory function(호흡기계 기능) : 가스 교환 및 신진대사의 최종 산믈 제거 과정

 

-Impaired gas exchange (가스 교환 장애):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제거가 결핍 또는 과잉된 상태

 

 

 

 

NANDA 간호진단 영역3 배설/교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