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협십증 치료제 니트로글리세린(NTG) 설하정 협심증 치료제로 유명한 니트로글리세린 설하정이죠? 먼저, 협심증 치료제에는 3가지 종류로 나뉘는데 1. 질산염 제제 2. 칼슘 채널 차단제 3. β 차단제 이 중 질산염 제제에 속하는 니트로글리세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협심증에 니트로글리세린을 투여하는 이유 니트로글리세린은 유기 nitrate로 혈관 평활근 긴장을 감소시키는 혈관 확장제로 말초 정맥, 동맥 혈관을 확장시킵니다. 질산염 제제에 대표적인 약물은 니트로글리세린, 이소소르비드가 있는데요. 이 질산염 제제는 관상동맥을 포함한 전신 혈관을 확장시킴으로 심장으로 가는 혈액, 산소의 공급을 증가시킵니다. 심장 부담을 줄여줌으로 협심증 예방과 치료에 사용됩니다. 그 중 니트로글리세린은 설하정으로 주로 사용되며, 협심증의 급성 통증을 완화하는 목적으로 .. 2023. 7. 28.
VFSS(연하조영검사) 및 PAS(침습 흡인 척도) 연하곤란에 이어서 연하곤란 정도를 알 수 있는 연하조영검사 VFSS(Video Fluoroscopic Swallow Study) 그리고 연하재활전기자극치료(vital stim)시 건강보험 적용 척도가 되는 PAS(Penetrationt Aspiration Scale)에 대해 알아볼까요? VFSS (Video Fluoroscopic Swallow Study) VFSS는 구강과 인두, 후두에서 발생하는 연하곤란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하게 됩니다. ​조영제를 섞은 물이나 여러 음식물을 삼키면서 X선으로 투시하여 구강, 인두, 식도의 생김새와 움직임을 관찰하여 환자에게 적합한 식이, 자세, 방법, 재활 기준을 설정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 ​ VFSS는 삼킴 과정과 관련된 (구강, 인두, 후두, 식도 등)의 움직임.. 2023. 7. 23.
Dysphagia, 연하곤란 환자 간호 뇌졸중 환자들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연하곤란, Dysphagia'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Dysphagia란? Dysphagia란 연하곤란, 음식을 삼키기 어려운 상황을 의미합니다. 먼저 삼킴 과정이란 음식물이 구강에서 인두와 식도를 거쳐 위로 보내지는 과정으로, 이 과정에서 생기는 이상을 삼킴장애 또는 연하곤란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음식을 삼키는 것 뿐만 아니라 음식을 삼키는 과정 중 어느 하나라도 문제가 있으면 연하곤란이 생기기 때문에 식사 전반에 걸쳐 관찰이 필요합니다. 연하곤란 증상 - 침 또는 음식물을 많이 흘린다. - 음식물을 삼키지 않고 입안에 머금고 있거나 입 밖으로 내뱉는다. - 음식을 삼키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 식사 중이나 식사 후 기침을 한다. - 음식을 삼킨 뒤 입안에 잔여물이.. 2023. 7. 22.
투석 환자의 빈혈 및 조혈제 신질환 환자들의 빈혈 및 투석 환자에게 자주 사용되는 조혈제와 보험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투석환자의 빈혈 투석 환자들은 주기적으로 조혈제 투여가 필요합니다. 적혈구 생성을 자극하는 조혈 호르몬인 에리스로포이에틴(ErythroPOietin, EPO)이 신장에서 생성되지 않기 때문이에요. 에리스로포이에틴은 신장에서 분비하는 호르몬으로 골수에서 적혈구 생성을 촉진하게 하는 호르몬입니다. 신장기능이 적절하지 못하여 에리스로포이에틴의 생성이 잘 되지 않아 빈혈을 일으키게 됩니다. 그로 인해 만성 신질환자의 합병증으로 빈혈이 발생할 위험이 높습니다. 이 외에도 빈혈의 요인으로는 항응고제 사용으로 인한 출혈 위험성 증가, 투석 중 혈액 손실, 잦은 혈액검사, 혈소판 기능장애 등이 있습니다. - 빈혈 관련 .. 2023. 7. 20.
투약의 기본 원칙 7RIGHT 임상에서 투약 오류를 예방하기 위한 기본적인 투약 원칙으로 간호사에게 필수적인 '7RIGH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과거 5RIGHT에서 7RIGHT로 변경되었습니다. 7 RIGHT RIGHT DRUG/MEDICATION 정확한 약물 1) 약장에서 약물용기를 꺼낼 때 2) 처방된 용량을 약물 용기에서 꺼낼 때 3) 약물 용기를 다시 약장에 보관할 때 :보통 3번 확인의 과정을 거침 RIGHT DOSE 정확한 용량 1) 알약을 자를 경우 칼 끝이나 절단 기구 이용 2) 특수 코팅이나 캡슐은 분쇄하지 않음 RIGHT PATIENT 정확한 환자 1) 개방형 질문으로 대상자 확인 2) 등록번호와 입원팔찌 대조 RIGHT ROUTE 정확한 경로 1) 처방된 경로 그대로 약물을 투여 2) '경구용', '주사용' .. 2023. 7. 15.
글라스고우 혼수 척도(GCS, Glasgow Coma Scale)/의식수준 단계LOC(LOC, Level of consciousness) 간호사라면 환자 의식 수준 사정시 필수로 알아야 할 글라스고우 혼수 척도(GCS, Glasgow Coma Scal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얼마나 혼수(Coma) 상태에 가까운가를 사정하는 도구로써 의식 수준을 사정할 때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합니다. 기준 행동 점수 Eye response 눈 반응 Spontaneously 자발적으로 눈을 뜬다 4 To voice 부르면 눈을 뜬다 3 To pain 통증에 의해 눈을 뜬다 2 None 눈을 뜨지 않음 1 Verbal response 언어 반응 Orientated 지남력 양호함 5 Confused 혼돈된 대화 4 Inappropriate words 부적절한 언어(단어를 사용하나 문장으로 만들지 못한다) 3 Incomprehensible sounds 이해 .. 2023. 7.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