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하곤란에 이어서 연하곤란 정도를 알 수 있는
연하조영검사 VFSS(Video Fluoroscopic Swallow Study)
그리고 연하재활전기자극치료(vital stim)시
건강보험 적용 척도가 되는 PAS(Penetrationt Aspiration Scale)에 대해 알아볼까요?
VFSS (Video Fluoroscopic Swallow Study)
VFSS는 구강과 인두, 후두에서 발생하는 연하곤란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하게 됩니다.
조영제를 섞은 물이나 여러 음식물을 삼키면서 X선으로 투시하여 구강, 인두, 식도의 생김새와 움직임을 관찰하여 환자에게 적합한 식이, 자세, 방법, 재활 기준을 설정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
VFSS는 삼킴 과정과 관련된 (구강, 인두, 후두, 식도 등)의 움직임 등을 관찰할 수 있으며, 기도 흡인(aspiration)의 원인을 확인하고 치료적인 접근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VFSS 금기사항
- 앉는 자세가 힘든 대상자
- 협조가 잘되지 않는 대상자
- 조영제와 관련한 금기사항 [황산바륨(Barium Sulfate)]
소화관 천공이 있거나 의심되는 환자(소화관 외로 유출 시 복막염 등 중증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소화관 급성 출혈 환자(출혈 부위의 천공이나, 점막 손상 부위의 혈관으로 이 약이 유입될 수 있습니다.)
소화관 폐색이 있거나 의심되는 환자(천공이 생길 수 있습니다.)
최근 골반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
이 약 및 이 약의 구성 성분에 과민반응 및 그 병력이 있는 환자
극도의 전신 쇠약 환자
-조영제 신중투여
소화관 천공이 생길 수 있는 장 질환 환자(위, 십이지장 손상, 충수염, 게실염, 궤양성대장염, 장 중첩증, 종양, 기생충 감염, 조직 검사 후 등)
소화관 누공이 있거나 의심되는 환자
소화관 협착이 있거나 의심되는 환자(장폐색, 천공 등 발생 가능성 있습니다.)
장관게실 환자
알레르기 질환 또는 조영제 알레르기 병력이 있는 환자
중증 고혈압 환자, 심장질환 환자
잘 삼키지 못하는 환자
PAS(penetrationt aspiration sclae)
척도
|
결과
|
기준
|
1
|
정상
|
정상 음식물이 기도로 들어가지 않음.
|
2
|
침습
|
음식물이 기도로 들어가고, 성대위에 남아있음, 기도 밖으로 나옴.
|
3
|
침습
|
음식물이 기도로 들어가고, 성대위에 남아있음, 기도 밖으로 나오지 않음.
|
4
|
침습
|
음식물이 기도로 들어가고, 성대에 닿음, 기도 밖으로 나옴.
|
5
|
흡인
|
음식물이 기도로 들어가고 성대에 닿음, 기도 밖으로 나오지 않음.
|
6
|
흡인
|
음식물이 기도로 들어가고, 성대아래를 지남, 후두/기도 밖으로 나옴.
|
7
|
흡인
|
음식물이 기도로 들어가고, 성대아래를 지남, 후두/기도 밖으로 나오지 않음.
|
8
|
흡인
|
음식물이 기도로 들어가고, 성대아래를 지남, 후두/기도 밖으로 나오려는 작용이 없음.
기침 반사 없음. silent aspiration이라고 함. |
PAS 침습 흡인 척도
PAS 1~5: penetraition 투과
PAS 6~8: aspiration 흡인
검사 결과 6점 이상은 흡인성 폐렴의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로,
구강으로 섭취하는 식사는 위험할 수 있습니다.
PAS 단계에 맞게 1:1 연하재활치료를 충분히 받고,
연하검사를 통해 입으로 식사가 가능한지 판단한 후
L-tube를 제거하면서 미음-죽-밥의 단계를 거쳐 식사를 하게 됩니다.
연하재활치료
일반적인 연하치료와 연하전기자극치료로 나뉘는데
연하치료는 VFSS 검사 결과 발병 후 6개월 이내는 검사가 따로 필요없으나
발병 후 6개월이 초과한 경우에는 VFSS 검사가 필수적이며 PAS 점수 기준은 따로 없습니다.
VFSS 검사 결과 발병 후 6개월 이내는 PAS 3점 이상,
발병 후 6개월 초과시 PAS 5점 이상은 연하전기자극치료(Vital stim)이 필요합니다.
PAS 5점 이상의 기준은 기도로 흡인되는 시점으로
기도로 흡입은 기관지를 지나 폐에 음식물 찌꺼기가 쌓이게 되어
염증을 유발하여 폐렴을 발생 시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간호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협십증 치료제 니트로글리세린(NTG) 설하정 (0) | 2023.07.28 |
---|---|
Dysphagia, 연하곤란 환자 간호 (1) | 2023.07.22 |
투석 환자의 빈혈 및 조혈제 (0) | 2023.07.20 |
투약의 기본 원칙 7RIGHT (0) | 2023.07.15 |
글라스고우 혼수 척도(GCS, Glasgow Coma Scale)/의식수준 단계LOC(LOC, Level of consciousness) (0) | 2023.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