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진단 NANDA

NANDA 간호진단 (2021-2023) PART 12. 안위

by 유두부 2023. 7. 8.

 

NANDA Nursing Diagnosis 

Part 12) Comfort (안위)

 

1. Physical comfort(신체적 안위) : 안녕감 또는 편안함 그리고/또는 통증이 없는 상태

 

-Impaired comfort (안위 손상):

신체적, 심리/영적, 환경적, 문화적, 사회적 영역에서 안락감, 안도감과 초월감이 부족하다고 인지하는 것

 

-Readiness for enhanced comfort (안위 향상을 위한 준비):

신체적, 심리/영적 환경적 및 사회적 영역에서 안락감, 안도감과 초월감의 양상이 강화될 수 있는 것

 

-Nausea (오심):

식도와 위장에서 느껴지는 불쾌한 느낌의 주관적 현상으로, 구토를 유발할 수도 있고 유발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것

 

-Acute pain (급성 통증): 

실제적이나 잠재적인 조직손상과 관련되거나 이런 손상을 기술하는 불쾌한 감각과 감정적 경험으로 (국제통증연구회,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 경한 수준에서 심한 강도까지 급성 또는 천천히 발생하며, 끝이 예상되거나 기간이 3개월 미만인 것

 

-Chronic pain (만성 통증):

실제적이거나 잠재적인 조직손상과 관련되거나 이런 손상을 기술하는 불쾌한 감각과 감정적 경험으로 (국제통증연구회), 경한 수준에서 심한 강도까지 급성 또는 천천히 발생하기도 하며, 끝나는 시점이 예상되지 않거나 예견되지 않으면서 지속되거나 반복되는데 기간이 3개월 이상인 것

 

-Chronic pain syndrome (만성 통증 증후군):

적어도 3개월 이상 지속되거나 반복되는 통증으로 일상 생활이나 안녕에 심각하게 영향을 주는 것

 

-Labor pain (분만 통증):

진통과 분만과정에 연관되어 나타나는 유쾌한 것에서부터 불쾌한 것까지의 다양한 감각과 감정적 경험

 

2. Environmental comfort(환경적 안위) : 환경 내에서 안녕감 또는 편안한 상태

 

-Impaired comfort (안위 손상):

신체적, 심리/영적, 환경적, 문화적, 사회적 영역에서 안락감, 안도감과 초월감이 부족하다고 인지하는 것

 

-Readiness for enhanced comfort (안위 향상을 위한 준비):

신체적, 심리/영적, 환경적 및 사회적 영역에서 안락감, 안도감과 초월감의 양상이 강화될 수 있는 것

 

3. Social comfort(사회적 안위) : 개인의 사회적 상황에 대해 안녕감 또는 편안함

 

-Impaired comfort (안위 손상):

신체적, 심리/영적, 환경적, 문화적, 사회적 영역에서 안락감, 안도감과 초월감이 부족하다고 인지하는 것

 

-Readiness for enhanced comfort (안위 향상을 위한 준비):

신체적, 심리/영적, 환경적 및 사회적 영역에서 안락감, 안도감과 초월감의 양상이 강화될 수 있는 것

 

-Risk for loneliness (외로움의 위험):

타인과 더 많이 접촉하고자 하는 욕구와 관련된 불편감을 경험할 수 있고 건강에 위협이 될 만큼 취약한 상태

 

-Social isolation (사회적 고립):

긍정적이고 지속적이며 중요한 대인관계와 연관성이 결여된 상태

 

 

 

 

NANDA 간호진단 영역 12. 안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